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행사 및 기타자료실

> 커뮤니티 > 행사 및 기타자료실
다중지능과 한국경제와 산업발전 전략- 디지털타임스

교육원 2010년 05월 18일 09:48 조회 16459

[DT 시론] `서비스 인프라` 국가가 나서야

김현수 국민대 경영학부 교수ㆍ한국IT서비스학회장

 
스마트폰인 아이폰의 폭발적인 수요를 경험하면서, 정부와 민간 모두에서 우리 산업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이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기능이 우수한 휴대폰을 생산해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데, 이제는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높여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적으로 우수한 휴대폰을 생산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 경제의 주요 키워드인 서비스와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인식했다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오랫동안 서비스와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필자로서는 더할 나위 없이 감개가 무량한 일이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한국경제와 산업의 궁극적인 발전 전략이 무엇인지 한 단계 더 깊이 숙고해 보고 행동해야 한다.

하워드 가드너가 1980년대에 다중지능이론을 제기한 이후, 인간 지능의 다양한 측면이 계속 발견되고 있다. 논리수학적 지능, 언어적 지능, 공간적 지능 외에도 음악적 지능,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 등이 인간 능력의 다양한 차원으로 추가되고 있다. 한 인간이 모든 지능의 차원에서 최고가 될 수는 없으므로, 각자 자신의 뛰어난 부분을 잘 살리는 길이 성공의 길이라는 것이다.

기업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생산이 탁월한 기업, 연구개발이 탁월한 기업, 마케팅이 탁월한 기업, 영업이 탁월한 기업, 디자인이 탁월한 기업 등 부문별로 기업들이 강점을 가지고 있다. 한 기업이 모든 부문에 대해서 탁월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의 경쟁력이 최상이 아닌 부문은 아웃소싱을 통하여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차원이 좀 다르기는 하지만, 국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모든 산업 부문에서 절대 강자인 국가는 사실상 존재하기 어렵다. 국민과 경제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아이폰을 만든 애플사는 미국 기업이다. 미국이라는 나라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산업 인프라와 한국의 산업 및 인력 인프라는 매우 다르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의 삼성전자나 LG전자에게 왜 애플처럼 행동하지 못했느냐고 질책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인 것이다. 생산에서 최고의 효율성을 유지하는 일과 최고의 기능을 가진 휴대폰을 개발하는 일만도 대단한 일인데, 소프트웨어적 또는 서비스적 컨셉트에 왜 강하지 못했느냐고 질책하는 것은 수학을 1등하는 학생에게 음악까지 1등을 하라고 요구하는 것과 같다. 수학을 1등하는 학생이 음악까지 1등 하려면, 시간도 많이 필요하지만, 수학 1등을 빼앗길 수도 있는 것이다. 기업과 산업이 처한 외적 환경을 이해하고, 그 바탕위에서 전략이 구사되어야 한다.

그런데, 현대 경제는 AND World의 특징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한 부문만 잘해서는 승자가 되기 어렵다. 두 가지 상충되는 역량을 모두 지니고 있어야 승자가 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도 우수해야 하지만, 서비스적으로도 우수해야 잘 팔리는 제품이 된다. 한 기업이 상충되는 역량을 모두 최고수준으로 가지기 어렵기 때문에, 국가 및 산업차원에서 치밀한 전략이 필요하다. 삼성전자가 최근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임원으로 영입하여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부문을 강화하고 있는 것은 필요한 일이기는 하나, 보다 거시적인 전략이 실행되어야 한다. 한국의 소프트웨어산업 인프라와 인력구조가 미국과 다르기 때문에, 단시간에 미국수준의 서비스화를 구현하기 어렵다. 해외 인프라와 인력의 아웃소싱이 필요하다. 또 삼성SDS와 같은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의 역량 강화를 통하여 지름길을 찾아낼 수 있다.
국가의 산업전략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제조기업이 서비스 부문을 강화하여, 두 가지 모두에 경쟁력을 가지려고 하는 노력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그러나, 제조기업은 제조로서 강하게 하고, 서비스기업은 서비스로서 강하게 하는 전략이 더욱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리 사회의 서비스산업 인프라를 강화하는 노력이 국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다. 서비스 인력 양성, 서비스 가치 인정 문화 조성, 금융 세제 등에 대한 친 서비스 기업 환경 구축을 즉시 시작해야 한다. 서비스 융합 활성화 및 서비스기업 지원 등 단기적인 대책과 함께, 서비스대학 설립 및 육성, 소프트웨어 등 무형적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 운동 등 서비스 중시 문화 구축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 아이폰 열풍이 우리의 산업 정책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디지털타임스 펌)